이슈

1,000명의 일본인을 사로잡은 함안 낙화놀이: 중장년층을 위한 한국 관광의 새로운 지평

뉴스룸 12322 2025. 9. 22. 17:08
반응형

일본, 함안을 주목하다: 1,000명 일본 관광객의 방문

경남 함안군에 1,000명의 일본인 관광객이 방문할 예정이며, 이는 함안 재팬데이(일본의 날)로 지정된 다음 달 16일에 이루어질 것이다.  과거 수백 명 규모의 방문은 있었지만, 특정 국가에서 1,000명에 이르는 관광객이 수도권 외 지역을 찾는 것은 드문 일이다. JTB, HIS 등 일본 대형 여행사를 포함한 30개 넘는 여행사가 해당 상품 판매를 시작했고, 한 달 만에 700여 명이 예약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는 한국 관광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특히 중장년층을 타겟으로 한 전략이 주효했음을 시사한다.

 

 

 

 

함안 낙화놀이: 17세기부터 이어진 불꽃 축제의 매력

일본인 관광객을 사로잡은 함안의 매력은 바로 경남 무형유산인 '함안 낙화놀이'이다. 17세기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낙화놀이는 2000년대 들어 함안면 괴항마을 주민들을 중심으로 전승되었다. 마을에서 제작한 숯가루를 한지에 말아 만든 낙화를 줄에 걸어 불을 붙이는 이 놀이는 매년 5월 부처님오신날에 독특한 불꽃 모양을 연출하며, 일본 인기 여행 유튜버 '쿠보타비'의 영상으로 인해 더욱 널리 알려졌다.  이러한 전통 문화 체험은 일본 관광객, 특히 중장년층의 흥미를 유발하며 한국 관광의 새로운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성공적인 전략: 지역 축제와 한정판 소비 심리 공략

한국관광공사 일본지역센터와 일본여행업협회(JATA)가 함께 만든 함안 관광 상품은 지역 관광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일본인 인기 여행 유튜버 '쿠보타비'의 함안 낙화놀이 여행 영상이 입소문을 타면서 문의가 쇄도했고, 여행업계는 처음 상품을 선보였을 때의 우려를 뒤로하고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  일본인들은 '한정판' 소비를 선호하고, 불꽃놀이와 같은 지역 축제를 즐기는 경향이 있어, 이러한 취향을 정확히 공략한 것이 성공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한국 관광의 현주소: 2030 여성 중심의 편중된 관광객

K팝, K드라마 등 한류의 영향으로 일본인 관광객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2030세대, 특히 여성층에 쏠린 현상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2023년 방한 외국인 관광객 중 일본인은 약 231만 명으로 1위를 차지했지만, 2030 여성 관광객 비중이 높은 반면, 중장년층의 참여는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이러한 편중된 현상은 관광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중장년층을 위한 다양한 관광 상품 개발이 시급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관광 산업의 퀀텀 점프를 위한 과제: 중장년층 유치

관광 산업의 퀀텀 점프를 위해서는 중장년층 관광객 유치가 필수적이다.  2030세대는 쇼핑보다는 식도락을 선호하고, 소비력이 상대적으로 낮아 관광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가 제한적이다.  반면, 시간적, 경제적 여유가 있는 중장년층은 장거리 여행을 선호하고 소비력이 높아, 이들을 위한 다양한 관광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관광공사와 여행업계는 미식 여행, 문화 체험 등 중장년층의 취향에 맞는 상품을 개발하여, 관광객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미래를 위한 제언: 맞춤형 상품 개발과 홍보 강화

중장년층을 위한 맞춤형 관광 상품 개발과 홍보 강화는 한국 관광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핵심 전략이다. 여행사들은 경북 안동·경주시, 충북 보은군의 유적지를 도는 '한국 세계유산 여행' 상품, 전주·순창·김제 등을 순회하는 '미식 도시 전주' 상품 등을 선보이며 고객 유치에 힘쓰고 있다.  또한, 일본 시니어층은 혼잡한 대도시보다 지방 관광을 선호하고 건강과 문화 체험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한 상품 개발과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  HIS는 서울·부산 이외 지역 고객 비율을 10%까지 늘릴 계획이며, 한국 관광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다.

 

 

 

 

핵심만 콕!

함안 낙화놀이를 통해 1,000명의 일본인 관광객을 유치한 사례는 한국 관광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중장년층을 위한 맞춤형 상품 개발과 홍보를 강화하여, 관광객 다변화를 이루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어내야 한다.

 

 

 

 

궁금해하실 만한 점들

Q.왜 중장년층 관광객 유치가 중요한가요?

A.중장년층은 시간적, 경제적 여유가 있어 소비력이 높고, 장거리 여행을 선호하기 때문에 관광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가 크기 때문입니다.

 

Q.일본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구체적인 상품 개발 사례는 무엇인가요?

A.HIS의 '한국 세계유산 여행' 상품, 한큐교통사의 '미식 도시 전주' 상품, 그리고 한국관광공사의 '강원 평창 김장 체험 여행' 상품 등이 있습니다.

 

Q.앞으로 한국 관광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가요?

A.중장년층을 위한 맞춤형 상품 개발, 지역 관광 활성화, 그리고 다양한 홍보 전략을 통해 관광객 다변화를 이루는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