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삼성전자, TSMC 제치고 '미국 파운드리' 시장 선점할까? 빅테크들의 선택에 주목

뉴스룸 12322 2025. 8. 11. 00:13
반응형

미국 정부의 압박 속, 삼성전자와 TSMC의 엇갈린 행보

미국 정부가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을 대상으로 미국 내 투자 확대를 적극적으로 압박하는 가운데, 파운드리 시장의 선두 주자인 TSMC와 삼성전자의 최첨단 칩 생산 전략이 엇갈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내년 중으로 미국 현지에 최첨단 공정을 도입하여 현지 고객사 확보에 박차를 가할 계획인 반면, TSMC는 대만 내 최첨단 칩 생산을 우선시하는 전략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두 회사의 상반된 행보는 향후 파운드리 시장의 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삼성, 내년 미국 테일러 공장에 2나노 공정 도입…TSMC보다 앞서

삼성전자는 내년 가동을 목표로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에 2나노미터(㎚) 공정용 양산 설비를 도입할 예정입니다2나노 공정은 올해 하반기 상용화될 예정인 최신 파운드리 기술로, 현재 전 세계에서 삼성전자와 TSMC만이 양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르면 내년부터 테일러 공장에서 테슬라의 차세대 AI 칩인 ‘AI6’가 2나노 공정으로 양산될 예정이며, 테일러 공장에는 2030년까지 370억 달러 이상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이는 삼성전자가 미국 파운드리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려는 중요한 전략적 행보로 풀이됩니다.

 

 

 

 

TSMC, 대만 우선 전략 고수…미국 공장 2나노 도입은 2028년

TSMC는 대만 내 최첨단 칩 생산을 우선시하며, 미국 애리조나 신공장에는 2028년 무렵에 2나노 공정을 도입할 계획입니다. 이는 TSMC가 올해 하반기부터 대만 공장에 2나노 공정을 도입하는 것과 비교해 2년 이상 늦은 시점입니다. 또한, 미국 공장에서 2나노 양산을 시작하더라도 전체 물량의 30%만 배정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TSMC의 행보는 대만 안보와 관련된 요인과 현지 정부의 영향력 등 복합적인 이유로 분석됩니다.

 

 

 

 

미국 정부의 압박과 빅테크들의 선택

미국 정부는 ‘반도체 관세 100%’를 거론하며 자국 내 칩 생산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AI 서버용 반도체 시장의 주요 고객인 빅테크 기업들은 칩 생산의 일부를 미국 본토로 이전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그동안 TSMC에 최첨단 칩 생산을 의존해왔던 빅테크들은 미국 정부의 압박과 함께 삼성전자로의 물량 이전을 고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삼성전자의 미국 내 입지를 강화하고, 추가 수주 기회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의 몸값 상승과 향후 전망

미국 정부의 ‘미국산 반도체’ 구매 압박이 거세짐에 따라 삼성전자의 위상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국 내 생산 시설을 갖춘 반도체 기업이 많지 않다는 점이 삼성전자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애플이 삼성전자 오스틴 공장에서 생산한 차세대 칩을 사용하겠다고 발표한 데 이어, 퀄컴 역시 TSMC에 맡기던 최첨단 칩 생산 물량의 일부를 삼성전자로 이전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기회를 통해 미국 파운드리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핵심만 콕!

미국 정부의 압박 속에서 삼성전자는 미국 내 최첨단 공정 도입을 통해 파운드리 시장 선점에 나섰습니다. TSMC는 대만 우선 전략을 고수하며 엇갈린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빅테크들의 선택과 삼성전자의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향후 미국 파운드리 시장의 판도가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삼성전자가 미국에 2나노 공정을 도입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미국 내 최첨단 파운드리 수요 급증, 미국 정부의 자국 내 칩 생산 압박, 그리고 빅테크 기업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함입니다.

 

Q.TSMC가 미국보다 대만에서 먼저 2나노 공정을 시작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대만 안보 문제, 대만 정부의 영향력, 그리고 기존의 대만 생산 우선 전략 때문입니다.

 

Q.삼성전자가 미국 파운드리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미국 내 생산 시설을 갖춘 몇 안 되는 기업 중 하나이며, 미국 정부의 자국산 반도체 구매 압박에 따른 빅테크들의 선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