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저널리즘 2

'나라 잘못되는 것 아닌가' 절박함, 상이 되다: 오마이뉴스 뉴스게릴라 수상자들의 이야기

시민 저널리즘의 뜨거운 열정: 오마이뉴스 '올해의 뉴스게릴라'를 만나다계엄과 대선이라는 격동의 시기를 지나, 시민 기자들의 활약이 돋보였던 2025년 상반기. 오마이뉴스는 그들의 노고를 치하하고자 '2025 상반기 올해의 뉴스게릴라' 시상식을 개최했습니다. 수상의 영예를 안은 여섯 명의 시민 기자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묵묵히 진실을 기록하고, 사회의 목소리를 대변해 왔습니다. 이들의 이야기는 단순한 수상 소감을 넘어, 시민 저널리즘의 가치와 중요성을 다시 한번 되새기게 합니다. 수상자들은 상패와 함께 100만 원의 상금을 받았으며, 시상식은 서교동 마당집에서 진행되었습니다. 강명구 시민기자: 절박함에서 시작된 기록, 정체성을 찾다강명구 시민기자는 '이러다가 정말 나라가 잘못되는 것 아닌가' 싶은 절박..

이슈 2025.09.04

팩트 확인 없이 '따옴표 저널리즘'에 갇힌 언론: 전한길 발언 인용 보도 문제점

전한길 발언 인용 보도, 언론의 무분별한 '따옴표 저널리즘' 문제 드러내최근 한미 정상회담 관련, 유튜버 전한길 씨의 허위 주장을 다수의 언론이 여과 없이 인용하여 보도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는 언론의 기본적인 사실 확인 의무를 망각하고, 자극적인 내용만을 전달하는 '따옴표 저널리즘'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외교적 기초 지식이 부족한 개인의 일방적인 주장이 마치 사실인 양 보도되면서, 독자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태는 언론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허위 정보 유포의 시작: 전한길 씨의 일방적인 주장전한길 씨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한미 정상회담 관련, 이재명 대통령이 '국빈 대접을 받지 못하고 미국으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

이슈 2025.08.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