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삼성전자 7만 원대 회복! 테슬라와의 파운드리 계약, 주가 상승 이끌까?

뉴스룸 12322 2025. 7. 28. 20:14
반응형

삼성전자 주가, 327일 만에 7만 원대 회복

삼성전자가 23조 원 규모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하며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28일 한국거래소(KRX)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4500원(6.83%) 오른 7만4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는 지난해 9월 4일 이후 327일 만에 7만 원대를 회복한 것입니다이번 주가 상승은 그동안 약점으로 꼽혔던 파운드리 부문에서의 성과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로 풀이됩니다. 특히, 글로벌 대형 기업과의 대규모 계약 체결이 주가 상승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했습니다.

 

 

 

 

테슬라와의 파운드리 계약, 그 의미는?

삼성전자는 글로벌 대형 기업과 22조7648억 원 규모의 파운드리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 기간은 2024년 24일부터 2033년 12월 31일까지이며, 삼성전자 작년 연결 기준 매출의 7.6%에 해당합니다. 계약 상대방은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지만,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자신의 X(옛 트위터)를 통해 삼성전자와의 계약을 확인했습니다. 머스크 CEO는 삼성전자의 텍사스 새 공장이 테슬라의 차세대 AI6 칩 생산에 전념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분야에서 중요한 파트너십을 구축했음을 의미합니다.

 

 

 

 

주가 상승의 주요 원인 분석

삼성전자의 주가는 장 시작과 동시에 3%대 상승 출발했으며,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가 이어졌습니다. 증권가에서는 그동안 삼성전자 주가의 발목을 잡았던 파운드리 부문에서 대규모 신규 계약이 나왔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파운드리 부문은 지난 2분기에도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에 악영향을 끼쳤지만, 이번 계약을 통해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키움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가 4㎚와 2㎚ 공정 개선을 통해 신규 고객 확보에 힘썼으며, 하반기 엑시노스2500의 갤럭시Z 플립7 탑재, 2026년 아이폰18용 CIS 양산 등을 통해 영업 적자 폭을 축소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파운드리 부문의 과제와 전망

이번 계약은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성장성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됩니다. 대신증권 연구원은 장기 계약 체결이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추가 수주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다고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계약 기간이 2033년까지인 만큼 당장 파운드리 실적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삼성전자의 주가가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본업 실적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하나증권 연구원은 31일 실적 발표에서 HBM 관련 의미 있는 발언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코스피 상승 마감, 삼성전자의 영향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삼성전자의 주가 상승은 코스피 지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3.47포인트(0.42%) 오른 3209.52에 마감했습니다. 장 초반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도로 상승 폭이 줄었지만, 삼성전자의 상승세에 힘입어 3200선을 회복했습니다. 이는 삼성전자의 주가 상승이 시장 전체의 투자 심리를 개선하는 데 기여했음을 보여줍니다.

 

 

 

 

삼성전자 주가 급등, 파운드리 계약과 향후 과제

삼성전자가 테슬라와의 대규모 파운드리 계약을 통해 주가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7만 원대 회복은 긍정적인 신호이지만,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본업 실적 개선과 파운드리 부문의 경쟁력 강화가 필수적입니다. 투자자들은 31일 발표될 실적과 향후 파운드리 부문의 성과에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삼성전자의 파운드리 계약 상대방은 누구인가요?

A.구체적인 계약 상대방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삼성전자와의 계약을 확인했습니다.

 

Q.삼성전자 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A.23조 원 규모의 파운드리 계약 체결, 특히 테슬라와의 협력이 주가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Q.삼성전자의 향후 과제는 무엇인가요?

A.본업 실적 개선, 파운드리 부문의 경쟁력 강화, HBM 관련 성과 발표 등이 삼성전자의 향후 과제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