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망 속 한 줄기 빛, 강릉에 내린 단비
극심한 가뭄으로 고통받던 강원 강릉시에 반가운 비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12일과 13일, 이틀간 총 112.3mm의 비가 내려, 메마른 대지를 촉촉이 적셨습니다. 이는 52일 만에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을 상승시키는 긍정적인 신호로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아직 가뭄을 완전히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입니다. 제한 급수와 운반 급수는 당분간 유지될 예정입니다.
기록적인 강수량, 가뭄 해갈의 희망을 쏘다
이번 강수량은 강릉 지역에 희망을 안겨주었습니다. 특히 13일 하루 강수량은 올해 들어 가장 많은 양을 기록했습니다. 13일 강수량은 올해 하루 최다 강수량을 기록한 7월 15일 39.7mm의 2.5배 이상입니다. 이는 올해 강릉에 내린 총 강수량의 26.9%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오봉저수지 인근 지역의 강수량은 다소 적어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닭목재 90mm, 도마 84.5mm, 왕산 82mm의 강수량을 기록했습니다.
52일 만의 반등, 오봉저수지 저수율 변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13일 오전 11.8%로 반등한 데 이어 14일 오후 6시 16.0%로 상승했습니다. 하락세가 시작된 7월 23일 이후 52일 만에 반등한 것입니다. 역대 최저치인 12일 11.5% 대비 4.5%포인트가 올랐습니다. 빗물이 계속 유입되고 있고 주중에도 비가 내릴 예정이라 저수율은 더 오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가뭄 해갈을 위한 노력, 제한 급수와 운반 급수
강릉시는 이번 비로 가뭄 해소에 도움은 됐지만 해갈에는 태부족이라는 판단하에 제한 급수와 운반 급수 등 가뭄 대책을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비로 인해 하루 쉬었던 운반 급수는 14일 재개되어 소방차 101대와 군용차 340대 등 530여 대의 차량이 오봉저수지와 홍제정수장으로 물을 실어 날랐습니다. 그동안 대부분 오전, 오후 각 1시간씩 수돗물을 공급하던 113개 아파트의 제한 급수 시간은 하루 6시간으로 확대되었습니다. 강릉시는 아파트 주민들의 불편과 이에 따른 민원이 계속되자 13일 시청에서 회의를 열고 이날부터 오전, 오후 6∼9시 2차례 각 3시간씩 급수하는 것으로 통일했습니다.
미래를 위한 준비, 소방청의 노력
한편, 8일부터 강릉에서 ‘소방차 긴급정비지원단’을 가동 중인 소방청은 이번 경험을 토대로 소방장비관리법 개정을 추진해 향후 산불, 단수 등 재난 때 지원단을 상시 가동하는 등 제도화를 검토 중입니다. 이는 미래의 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입니다.
가뭄 속 희망의 단비, 그러나 아직 갈 길은 멀다
강릉 지역에 내린 단비는 가뭄으로 고통받는 시민들에게 작은 희망을 안겨주었습니다.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소폭 상승했지만, 아직 해갈에는 미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강릉시는 제한 급수와 운반 급수를 유지하며 가뭄 극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소방청은 재난 대응 시스템 강화를 위해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이번 비로 가뭄이 완전히 해소되었나요?
A.아니요, 이번 비로 저수율이 소폭 상승했지만, 아직 가뭄을 완전히 해소하기에는 부족합니다. 제한 급수와 운반 급수가 당분간 유지될 예정입니다.
Q.강릉시의 제한 급수 시간은 어떻게 변경되었나요?
A.그동안 오전, 오후 각 1시간씩 수돗물을 공급하던 113개 아파트의 제한 급수 시간은 하루 6시간으로 확대되었습니다. 13일부터는 오전, 오후 6∼9시 2차례 각 3시간씩 급수하는 것으로 통일되었습니다.
Q.소방청은 어떤 노력을 하고 있나요?
A.소방청은 이번 경험을 토대로 소방장비관리법 개정을 추진하여, 향후 산불, 단수 등 재난 때 지원단을 상시 가동하는 등 제도화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한길, 유튜브 수익 중단에 '보수 우파 죽이기' 주장: 진실은 무엇일까? (0) | 2025.09.15 |
---|---|
추석 맞이, 지자체 민생지원금 릴레이! 우리 동네는 얼마? (0) | 2025.09.15 |
윤석열, 9회 연속 불출석…궐석재판으로 향하는 내란 재판, 그 의미는? (0) | 2025.09.15 |
대통령실의 '사퇴 요구 공감' 발언, 대한민국 사법부에 드리운 그림자 (0) | 2025.09.15 |
법인카드, 6000억 유흥업소 결제… 룸살롱에 3200억 탕진, '접대비' 논란 (0) | 2025.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