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의 '쩐의 전쟁' 서막: 압도적인 자본력
단순한 소문이 아니다. 주연 배우 회당 출연료만 3억~5억원을 주며 한국 인기 콘텐츠를 싹쓸이한 넷플릭스가 올 2분기 역대급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징어게임', '폭싹 속았수다' 등 넷플릭스가 한국 콘텐츠 덕에 얻는 성과를 고려하면, 수억대 출연료가 전혀 아깝지 않다는 평가다.
2분기 실적 공개: 넷플릭스의 질주
20일 업계에 따르면 넷플릭스 올해 2분기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15.9% 증가한 110억7900만 달러(한화 약 15조4400억 원)였으며, 영업이익은 무려 45% 증가한 37억7000만 달러(한화 약 5조2489억 원)에 달했다.
국내 OTT의 그림자: 적자 늪
반면 티빙, 웨이브, 쿠팡플레이 등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들은 적자다. 누적 적자만 수천억원대 달한다.
넷플릭스의 성장세: 한국 콘텐츠의 힘
넷플릭스가 한국 콘텐츠 덕을 톡톡히 봤다. ‘오징어게임’, ‘폭싹 속았수다’, ‘중증외상센터’, ‘약한 영웅’ 등 한국 콘텐츠의 인기가 넷플릭스 실적을 견인했다.
'한플릭스' 시대? 한국 콘텐츠의 위상
“이 정도면 넷플릭스 이름을 한(한국)플렉스로 바꿔도 될 정도”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다.
글로벌 시청 현황: 한국 콘텐츠의 저력
넷플릭스가 공개한 ‘올해 상반기 글로벌 시청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총 시청 시간은 약 950억 시간으로 집계됐다. 이런 가운데 한국 콘텐츠가 상위권에 대거 이름을 올렸다.
주목할 만한 성과: '오징어 게임' 시즌2, 3
‘오징어 게임’ 시즌2는 1억 1700만 시청 수로 상반기 최다 시청 시리즈 2위, 6월 27일 공개된 ‘오징어 게임’ 시즌3은 조사 종료일까지 단 3일 만에 7200만 시청 수를 기록하며 3위를 차지했다.
넷플릭스 사상 최초: '오징어 게임' 시즌3의 기록
특히 ‘오징어게임’ 시즌3은 넷플릭스 사상 처음으로 공개된 직후 93개 국가 전부에서 1위를 차지했다.
다양한 한국 콘텐츠의 활약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8000만회, ‘폭싹 속았수다’는 상반기 3500만회의 시청수, ‘중증외상센터’는 3400만회, ‘약한영웅 1, 2’ 각각 2200만회, 2000만회로 총 4200만회의 시청수를 기록했다.
토종 OTT의 위기: 자금력 격차 심화
반면 자금력에서 밀리는 토종 OTT, 방송사는 사면초가에 몰렸다. 넷플릭스로 인한 폭등한 제작비를 감당하지 못해 콘텐츠 제작 편수를 줄이고 있다. 특히 방송사들은 넷플릭스에 콘텐츠를 공급하며, 종속화 되고 있는 양상이다.
세금 논란: 넷플릭스의 '세금 회피'
제작비에는 거액을 쏟아부으며, 역대급 실적을 내고 있는 넷플릭스가 정작 국내에서 내는 세금은 쥐꼬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플릭스서비시스코리아는 지난해 고작 13억원의 법인세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넷플릭스엔터테인먼트코리아는 39억원을 냈다. ‘구독 멤버십 수익’을 미국 본사에 이전하는 방식으로 세금을 최소화하고 있다.
넷플릭스, 한국 콘텐츠로 '잭팟'… 토종 OTT는 '고난'
넷플릭스가 한국 콘텐츠 투자를 통해 막대한 이익을 거두는 동안, 국내 OTT 및 방송사들은 자금난과 종속의 늪에 빠져드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넷플릭스의 압도적인 자본력과 세금 회피 논란은 한국 콘텐츠 시장의 미래에 대한 숙제를 남긴다.
자주 묻는 질문
Q.넷플릭스가 한국 콘텐츠에 투자를 많이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한국 콘텐츠의 높은 인기와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 가능성을 보고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Q.국내 OTT는 왜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나요?
A.넷플릭스와의 경쟁에서 자본력, 콘텐츠 경쟁력 등에서 밀려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Q.넷플릭스의 세금 문제는 무엇인가요?
A.한국에서 막대한 수익을 올리면서도, 세금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외로 수익을 이전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주은♥박수종 열애설: 삐끼삐끼 그녀와 키움 히어로즈 선수의 짜릿한 로맨스? (2) | 2025.07.21 |
---|---|
김건희 여사·권성동 의원, '통일교 자금 횡령' 혐의로 특검 수사… 파장은? (0) | 2025.07.21 |
7700% 살인 이자, 성관계 요구…악덕 대부업자의 추악한 민낯 (0) | 2025.07.21 |
울릉도 여행, 씁쓸한 뒷맛? 바가지 요금과 불친절 논란, 무엇이 문제일까? (0) | 2025.07.21 |
코스피 5000 시대 역행? 개미들의 반발, 증권가가 술렁이는 이유: 주식 시장 과세 강화 논란 (0) | 2025.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