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재난 심화, 기업이 원하는 인재는 따로 있다: 미스매치 현상과 해결 방안
AI 인재 부족, 현실인가?
기술 인재들이 일자리를 찾지 못해 해외로 떠나고, 기업들은 '쓸 만한 인재'를 찾기 어렵다고 호소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정부의 대책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AI 인재 시장은 심각한 '미스매치'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러한 미스매치는 AI 기술 발전의 속도를 늦추고, 국내 AI 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AI 기업, '기초 부족' 신입에 한숨
국내 AI 기업 임원 A씨는 신입 직원들의 기초 수학 능력 부족을 지적하며, AI 모델 개발에 필수적인 선형대수와 같은 수학적 원리에 대한 이해 부족이 실무 적용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했습니다. A씨는 “역행렬 계산 같은 수학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컴퓨터가 내놓은 결과를 해석하거나 오류를 잡아내기 어렵다”고 강조하며, 교과 과정에서 배우는 내용조차 실무에서 활용하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고 언급했습니다.
알고리즘 문제 풀이 능력 부족: 80%가 실패
채용 매칭 플랫폼 임원 B씨는 지원자들의 알고리즘 문제 해결 능력 부족을 지적하며, 간단한 알고리즘 문제를 코드로 풀지 못하는 비율이 80%에 육박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AI 기술을 다루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역량 부족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입니다. 또한, GPT 모델 활용 경험은 풍부하지만, 수학이나 물리 기초가 취약한 지원자가 많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었습니다.
AI 인재, 기술과 산업 이해의 융합 필요
AI 지식과 코딩 실력을 갖춘 인재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에 대한 이해를 가진 인재가 부족하다는 점도 문제로 제기되었습니다. NC AI 관계자는 자연어 처리 기술 전문성과 게임·플랫폼 산업 이해를 동시에 갖춘 인재를 찾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네이버 관계자는 AI 기술과 도메인 지식을 융합하여 산업 현장에서 성과를 낼 수 있는 인재가 절실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업이 원하는 인재, 실전 감각과 문제 해결 능력
기업들은 기존 기술을 잘 조합하여 시장에서 쓰일 수 있는 서비스를 구현하는 능력을 갖춘 인재를 찾고 있습니다. 유영준 뤼튼테크놀로지스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실전 감각을 갖춘 인재를 찾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손해인 업스테이지 부사장은 고객사의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기술을 실제 환경에서 작동하게 만드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논문이나 모델 구조를 잘 설명하는 것보다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입니다.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기업의 노력
학교 교육만으로는 기업이 원하는 능력을 모두 갖추기 어렵다는 현실을 인식하고, 기업들은 자체적인 인재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미스매치 현상을 해결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B씨는 기본 알고리즘 이해를 높이고, 실무 코딩 실력을 향상시키는 교육이 AI 기업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업스테이지는 GPU 지원 및 문제 해결 실습을 통해 실무 감각을 키우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
대학 교육의 변화 필요성
기업들은 대학 교육 체계의 개편을 요구하며, 데이터 수집부터 모델 배포까지 전 과정을 경험하는 실습 중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NC AI 관계자는 이론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또한, 선형대수와 같은 기초 학문이 실제 코드 작성 및 모델 개발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가르치는 등, 산업 문제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교육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AI 인재 부족, 기업과 학교의 협력이 중요
AI 인재난 해결을 위해서는 기업이 원하는 역량과 학교 교육 간의 간극을 좁히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기초 역량 강화와 실무 중심 교육, 그리고 산업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 과정 개편을 통해 AI 인재 양성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기업과 학교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AI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인재를 육성해야 합니다.
AI 인재 부족, 궁금한 점 풀어보기
Q.AI 인재 부족 현상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A.기업이 원하는 실무 능력과 학교 교육 간의 미스매치, 기초 역량 부족, 그리고 산업 전반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AI 인재 부족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Q.기업들은 AI 인재 부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나요?
A.자체적인 인재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실무 중심의 교육을 강화하며, 대학 교육 체계 개편을 요구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Q.AI 인재 양성을 위해 학교와 기업이 협력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기업이 원하는 역량과 학교 교육 간의 간극을 좁히고, 실무 중심의 교육을 통해 AI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며,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학교와 기업의 협력이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