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만 건 허위 신고, 50대 남성의 끝나지 않는 거짓말… 그 끝은?
끊이지 않는 허위 신고, 그 시작
경찰에 1년간 5만 건이 넘는 허위 신고를 한 50대 남성이 구속된 채 검찰에 넘겨졌다. 그는 긴급한 상황이 아님에도 “누가 냉장고를 훔쳐갔다” “형을 죽이겠다” “감금당했다” 등 신고를 한 것으로 밝혀졌다. A씨의 신고로 경찰에 코드2(현장 출동 코드) 이상으로 접수되면서 경찰이 그의 주거지에 51회 가량 출동하기도 했다. 경찰은 남성에게 손해배상까지도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5만 8307번의 거짓말, 그 무게
서울성북경찰서는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를 받는 50대 A씨를 지난 22일 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A씨는 지난 1년간 5만 8307건이 넘는 112 긴급신고를 했다. A씨는 2023년부터 112 허위신고로 경범죄처벌법위반 통고처분 7회를 처벌받은 전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올해 5월경에도 통고처분 신고에 불만을 품고 나흘 동안 112에 1882회 신고하기도 했다.
반복되는 허위 신고, 그 배경
A씨는 2023년부터 112 허위신고로 경범죄처벌법위반 통고처분 7회를 처벌받은 전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올해 5월경에도 통고처분 신고에 불만을 품고 나흘 동안 112에 1882회 신고하기도 했다. 경찰은 A씨에 대한 112 신고이력, 처리내역, 신고 패턴, 내용 등을 분석해 범행을 입증했다. A씨는 출석요구에 응하지 않아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구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허위 신고의 심각성, 그 결과
A씨의 신고로 경찰에 코드2(현장 출동 코드) 이상으로 접수되면서 경찰이 그의 주거지에 51회 가량 출동하기도 했다. 경찰 관계자는 “허위신고는 실제 경찰의 도움이 필요한 국민이 경찰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는 중대한 범죄”라면서 “피의자에 대해 허위신고로 인해 경찰력이 출동하여 비용이 발생된 경우에 대하여 민사 손해배상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손해배상 검토, 그 의미
경찰은 남성에게 손해배상까지도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경찰 관계자는 “피의자에 대해 허위신고로 인해 경찰력이 출동하여 비용이 발생된 경우에 대하여 민사 손해배상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핵심 요약
50대 남성이 1년 동안 5만 건이 넘는 허위 신고를 하여 구속되었다. 반복되는 허위 신고와 그로 인한 경찰력 낭비, 그리고 손해배상 검토까지, 허위 신고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자주 묻는 질문
Q.A씨는 왜 허위 신고를 계속했나요?
A.기사 내용만으로는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과거에도 허위 신고로 처벌받은 전력이 있으며, 통고처분에 불만을 품고 반복적으로 신고한 정황으로 보아, 불만을 표출하거나 다른 의도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Q.허위 신고로 인한 손해배상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A.경찰은 허위 신고로 인해 발생한 경찰력 출동 비용 등을 산정하여 민사 소송을 통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Q.이 사건이 우리 사회에 주는 교훈은 무엇인가요?
A.허위 신고는 경찰력 낭비뿐만 아니라, 실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심각한 범죄임을 인지해야 합니다. 또한, 법을 준수하고, 정당한 방법으로 불만을 제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