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마저… '반도체 굴기' 중국의 무서운 역습, 한국은?
중국 반도체, 한국을 넘어설까? 위협적인 성장세 분석
독자님들께선 중국 반도체에 대해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 저는 취재 중 느낀 솔직한 느낌을 말씀드려보면요. 이미 한국의 생태계 수준을 넘어 점점 더 큰 격차가 생길 수 있겠다는 걸 피부로 느껴집니다. 매일매일 보도하며 긴급성을 타전하는 게 아쉽지 않을 정도라는 느낌을 받고 있는데요.
소재·부품·장비 분야, 중국 1위 기업의 압도적인 성장
지난주 중국 반도체 1위 기업 나우라가 상반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61억 4154만 위안(약 3조 1472억 원), 33억 2247만 위안(약 6478억 원)입니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5% 성장했고, 영업이익은 2.25% 성장했습니다.
한국 1위 세메스와의 비교: 압도적인 격차
세메스는 상반기 1조 1054억 원 매출, 821억 원 영업이익을 냈습니다. 매출은 11.59%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41%로 역성장했습니다. 나우라는 세메스 올 상반기 매출보다 2.84배 높고, 영업이익은 7.89배 차이가 납니다.
EDA(설계자동화툴) 분야의 중국 추격
다만 취재에 의하면 우리나라 최대 기업인 삼성전자마저 일부 테스트칩 특성 분석, 공정 최적화에 세미트로닉스(semitronix) 등 중국 EDA 회사들의 솔루션을 수년 전부터 공급받은 것으로 파악됩니다. 한국이 강세인 반도체 설계·제조분야에서의 EDA도 차근차근 준비하며 국내 생태계로도 점점 스며들고 있다는 점이 지켜볼 만한 포인트입니다.
AI 반도체: 중국의 무서운 도전
요즘 국내외 언론에서는 중국의 AI 반도체를 집중 조명하는 추세인데요. 올 초에는 딥시크로 세상이 한바탕 난리가 나면서 여기에 활용된 화웨이의 '어센드' 칩이 주목을 받았고요. 요즘은 알리바바가 자체 AI 칩을 개발했다는 발표가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죠.
SMIC와 화웨이의 협력, AI 반도체 생산 능력
모건스탠리는 올해 SMIC가 12인치 웨이퍼 기준 월 7000장으로 시작해 내년에는 1만 3000장, 2027년에는 1만 8000장의 AI 반도체를 생산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이 생산량 중에서 중국 대표 IT 기업인 화웨이의 물량 비중이 크기는 합니다.
중국 AI 칩의 현실: 아직은 갈 길이 멀다
성능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모건 스탠리는 자료를 통해 "중국 AI 연구자들과 대화해보면 이들은 아직도 자국 AI 칩보다는 H20을 더 선호하고 있다"며 "소프트웨어나 클러스터 쪽에서 엔비디아가 훨씬 앞선다"고 설명했는데요.
결론: 중국 반도체 굴기, 한국에 던지는 도전과 과제
중국의 반도체 굴기는 현실적인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한국은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과 생태계 협력을 통해 이 도전에 맞서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중국 반도체 기술, 한국을 얼마나 따라왔나요?
A.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 이미 한국을 넘어선 기업이 등장했으며, EDA와 AI 반도체 분야에서도 빠르게 추격하고 있습니다.
Q.한국 정부는 중국의 도전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A.반도체 생태계 지원을 확대하고,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며, R&D 투자를 늘려야 합니다.
Q.중국 AI 반도체의 미래는 어떻게 전망하나요?
A.아직은 엔비디아에 비해 기술 격차가 있지만, 중국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투자를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할 가능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