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 속 희망의 물줄기: '애물단지' 도암댐, 강릉을 구할 수 있을까?
마르지 않는 절망 속, 도암댐의 부활
강릉 지역에 극심한 가뭄이 지속되면서, 오랫동안 잊혀졌던 도암댐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습니다. 1990년에 건설된 도암댐은 한때 강릉 지역의 물 공급을 책임졌지만, 수질 문제로 인해 방류가 중단되면서 애물단지로 전락했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절박한 상황은 도암댐의 용수 활용을 재고하게 만들었고, 이는 지역 사회에 새로운 희망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강릉 방문과 환경부, 한수원의 적극적인 검토는 이러한 움직임에 더욱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가뭄으로 고통받는 강릉 시민들에게 도암댐은 단순한 시설을 넘어, 생존을 위한 물줄기가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잊혀진 과거, 도암댐의 역사
도암댐은 남한강 최상류 송천에 건설되어 대관령 일대 물을 가두어 관리했습니다. 15.6km의 관을 통해 매일 30만 톤의 물을 오봉저수지 인근 강릉수력발전소로 보내 전기를 생산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하지만, 발전 후 강릉 남대천으로 방류된 물이 가축 분뇨와 토사 등으로 오염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2001년 3월 발전이 중단되는 아픔을 겪었습니다. 이러한 역사는 도암댐을 '다 쓰고 흘려보내는' 존재로 만들었고, 오랫동안 잊혀진 존재가 되었습니다. 과거의 아픔을 딛고 도암댐이 다시 한번 지역 사회에 기여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에 많은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수질 개선, 재가동의 발판 마련
방류 중단 이후, 지속적인 수질 개선 노력이 이루어졌습니다. 가축분뇨와 비점오염 관리를 통해 과거보다 수질이 크게 개선되었고, 이는 도암댐 재가동의 중요한 발판이 되었습니다. 한수원 한강수역본부 관계자는 중단 당시 4등급 수준이었던 수질이 현재는 2등급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수질 개선 노력은 도암댐의 용수 활용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하며, 가뭄으로 고통받는 강릉 시민들에게 희망을 선사하고 있습니다.
강릉시의 긍정적인 입장 변화
극심한 가뭄 속에서 강릉시 또한 도암댐 용수 활용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강릉시는 수질 개선과 시민 의견 수렴을 전제로 도암댐 용수 사용에 찬성하는 쪽으로 입장을 선회했습니다. 황남규 강릉시 환경과장은 강릉 시민들과 시의회 의견을 수렴하고 있으며, 도수관로 내 수질이 강릉시 정수장에서 정수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강릉시의 적극적인 태도는 도암댐 재가동을 위한 중요한 동력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미래를 위한 준비: 공급 계획
가장 먼저, 도암댐과 강릉수력발전소 사이 관로에 담긴 15만 톤의 물부터 공급될 전망입니다. 한수원은 강릉시가 도암댐 물 공급을 결정하는 대로 최대한 빨리 방류할 수 있도록 설비 개선 등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속한 준비는 가뭄으로 고통받는 강릉 시민들에게 즉각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도암댐의 재가동은 단순히 물을 공급하는 것을 넘어, 지역 사회의 어려움을 함께 극복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가 될 것입니다.
도암댐, 가뭄 속 희망의 물줄기가 될 수 있을까?
수질 문제로 방류가 중단되었던 도암댐이 극심한 가뭄 속에서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습니다. 수질 개선 노력과 강릉시의 긍정적인 입장 변화는 도암댐 재가동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는 가뭄으로 고통받는 강릉 시민들에게 희망을 선사하고 있습니다. 도암댐은 단순히 물을 공급하는 시설을 넘어, 지역 사회의 어려움을 함께 극복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존재로 거듭날 수 있을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도암댐은 어떤 시설인가요?
A.도암댐은 1990년 남한강 최상류 송천에 건설된 댐으로, 대관령 일대 물을 가두어 강릉수력발전소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Q.도암댐의 방류가 중단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A.강릉 남대천으로 방류된 물이 가축 분뇨와 토사 등으로 오염된 사실이 확인되어 2001년 3월 발전이 중단되었습니다.
Q.현재 도암댐의 수질은 어떤가요?
A.방류 중단 이후 지속적인 수질 개선 작업을 통해 현재는 2등급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